노벨 문학상

노벨 문학상과 제1차 세계대전(1914~1918년)

돋보기쓴꼬부기 2025. 3. 9. 12:23
728x90
반응형
BIG

United States in World War I

제1차 세계대전과 노벨 문학상의 공백 (1914~1918년)

노벨 문학상은 1901년부터 시작되어 매년 뛰어난 문학 작품을 남긴 작가들에게 수여되었지만, 제1차 세계대전(1914~1918년) 동안에는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 이 기간 동안 일부 해에는 아예 수상자가 선정되지 않았으며, 일부 해에는 전쟁과 관련된 문학적 가치가 주목받기도 했다. 이 글에서는 전쟁으로 인해 수상자가 없었던 해(1914년과 1918년)를 중심으로 노벨 문학상의 공백과 그 배경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노벨 문학상과 제1차 세계대전의 관계

① 노벨상의 정치적 중립성과 현실적 어려움

노벨 문학상은 기본적으로 정치적 중립성을 유지하려 했으나,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인해 현실적으로 중립을 지키는 것이 어려웠다.

  • 전쟁으로 인한 국제 정세 변화
    • 1914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가 암살되면서 전쟁이 시작되었다.
    • 이후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오스만 제국(동맹국)과 영국, 프랑스, 러시아(연합국) 간의 대규모 전쟁이 전개되었다.
    • 노벨 문학상 심사 과정에서 특정 국가 출신 작가를 선정할 경우, 수상이 전쟁의 한쪽 편을 드는 것으로 해석될 우려가 있었다.
  • 문학 활동의 위축
    • 전쟁으로 인해 유럽 전역이 혼란에 빠졌으며, 출판 활동과 문학 창작이 위축되었다.
    • 문학 작품이 발표되더라도, 전쟁이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평가받기 어려운 환경이었다.
  • 심사위원회의 내부 갈등
    • 스웨덴 아카데미 내부에서도 전쟁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가 존재했다.
    • 중립을 지키기 위해 수상자를 선정하지 않기로 결정한 해(1914년, 1918년)가 있었다.

United States in World War I

2. 노벨 문학상의 공백 (1914년과 1918년)

노벨 문학상이 수상자를 선정하지 않은 해는 1914년과 1918년이다. 각각의 이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1914년: 전쟁 발발과 수상 공백

1914년 7월 28일,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세르비아에 선전포고하면서 제1차 세계대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 노벨 위원회의 혼란
    • 1914년 10월까지 수상 후보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지만, 전쟁으로 인해 수상 절차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 후보로 거론된 작가 중 일부는 전쟁과 관련된 국가 출신이었으며, 특정 국가를 지지하는 것처럼 보일 가능성이 있었다.
    • 결국 "적절한 수상자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수상자를 선정하지 않았다.
  • 주요 후보자와 탈락 배경
    • 1914년에는 프랑스 작가 로맹 롤랑 (Romain Rolland)과 독일 작가 토마스 만 (Thomas Mann)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었다.
    • 그러나 롤랑은 프랑스인이었고, 토마스 만은 독일인이었기 때문에 어느 한쪽을 선정하면 정치적으로 논란이 될 가능성이 있었다.
    • 따라서 심사위원회는 수상을 보류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라고 판단했다.

② 1918년: 전쟁 막바지와 또다시 수상 공백

1918년은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가는 해였다.

  • 전쟁의 피로감과 문화적 공백
    • 이 시기 유럽은 전쟁으로 인해 경제적·사회적으로 극심한 혼란을 겪고 있었다.
    • 문학계 역시 전쟁의 영향을 크게 받아, 전쟁 이전처럼 활발한 창작과 출판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 노벨 위원회의 난항
    • 스웨덴 아카데미는 1918년에도 후보 검토를 진행했으나, 적절한 수상자를 선정하기 어려웠다.
    • 전쟁이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문학적 업적을 제대로 평가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 따라서 1918년에도 수상자를 선정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3. 전쟁 중에도 수상한 작가들 (1915~1917년)

1914년과 1918년은 수상자가 없었지만, 1915년~1917년에는 특정 작가들이 수상했다.
이들은 비교적 정치적 논란이 적거나, 반전(反戰)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남긴 작가들이었다.

연도수상자국적대표작수상 배경
1915년 로맹 롤랑 (Romain Rolland) 프랑스 《장 크리스토프》 반전주의와 인도주의적 가치
1916년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Verner von Heidenstam) 스웨덴 《스웨덴의 군인들》 스웨덴 민족주의 문학 기여
1917년 헨리크 폰탈로프 & 칼 예르룹 덴마크 《운명의 길》 등 중립국 작가로서 문학적 업적 인정
  • 1915년: 로맹 롤랑 수상
    • 그의 작품 《장 크리스토프》는 전쟁을 비판하고, 평화와 인류애를 강조한 문학이었다.
    • 프랑스 작가였지만, 그는 독일과 프랑스 양측을 모두 비판하며 전쟁을 반대했기 때문에 정치적 논란이 적었다.
  • 1916년: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수상
    • 스웨덴 작가로서 전쟁에 직접적으로 개입되지 않은 중립국 출신이었다.
    • 그의 작품은 스웨덴 민족주의와 역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전쟁과 직접적 관련이 적었다.
  • 1917년: 덴마크 작가 2인 공동 수상
    • 덴마크는 제1차 세계대전에서 중립을 유지한 국가였다.
    • 따라서 덴마크 작가들에게 수여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큰 논란을 일으키지 않았다.

4. 노벨 문학상의 공백이 남긴 의미

제1차 세계대전 중 1914년과 1918년의 수상 공백은, 노벨 문학상이 전쟁과 정치적 상황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 노벨상의 정치적 중립성 유지 노력이 있었지만, 현실적으로는 전쟁이 수상 결정에 영향을 주었다.
  • 전쟁 중에도 반전(反戰) 문학과 중립국 작가들이 수상한 경우가 있었으나, 수상자 선정이 어려웠던 해에는 아예 수상을 보류했다.
  • 이러한 경험은 이후 제2차 세계대전(1939~1945) 중에도 반복되었으며, 전쟁과 문학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 즉, 제1차 세계대전 동안의 수상 공백은 노벨 문학상이 단순한 문학적 평가를 넘어, 국제 정치와 역사적 환경 속에서 작동하는 상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United States in World War I
 
728x90
반응형
BIG

'노벨 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벨 문학상 1916년 수상자  (8) 2025.03.10
노벨 문학상 1915년 수상자  (6) 2025.03.09
노벨 문학상 1913년 수상자  (4) 2025.03.09
노벨 문학상 1912년 수상자  (0) 2025.03.08
노벨 문학상 1911년 수상자  (8) 2025.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