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탐구

NVIDIA(엔비디아)와 Jensen Huang(젠슨 황)

돋보기쓴꼬부기 2025. 3. 22. 12:29
728x90
반응형
BIG

Jensen Huang

1. 출생과 어린 시절

1-1. 출생과 유년기

㉮ 본명: 황런쉰(黃仁勳, Jensen Huang)

출생: 1963년 2월 17일, 대만 타이난(台南)에서 출생

㉰ 어린 시절을 대만에서 보냈으며, 부모님은 교육을 중요하게 여겼음.

㉱ 가족은 경제적으로 풍족하지 않았지만, 부모님은 아들의 교육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임.

1-2. 미국으로 이민

젠슨 황이 9살이 되던 해, 부모님은 그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미국으로 이민을 결심.

㉯ 하지만 젠슨 황과 그의 형은 부모님과 함께 미국으로 가지 못하고, 태국의 기숙학교에 먼저 보내짐.

태국의 Oneida Baptist Institute (O.B.I)라는 엄격한 기독교 계열 기숙학교에서 생활.

㉱ 이곳은 학비가 저렴한 대신, 상당히 엄격한 생활 규칙이 있었음.

㉲ 화장실 청소부터 청소부 일까지 하며 자립심을 키움.

㉳ 학교에서 규율을 어길 경우 체벌을 받는 등 힘든 생활을 경험.

㉴ 하지만 여기서 독립심과 강한 정신력을 배웠다고 회상함.


2. 고등학교 및 대학 시절

2-1. 미국에서의 고등학교 생활

㉮ 9세가 되면서 미국으로 이주하여, 오리건 주 에이번데일(Aloha, Oregon)에 정착.

㉯ Aloha High School에서 고등학교 생활을 함.

㉰ 이 시기에 과학과 수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컴퓨터 공학에도 관심을 갖기 시작.

㉱ 하지만 미국 생활 초기에는 영어가 익숙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음.

㉲ 학업 외에도 운동을 좋아해 탁구 선수로 활동.


2-2. 오리건 주립대학교 (Oregon State University) 시절

㉮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오리건 주립대학교(Oregon State University)에 입학.

㉯ 전기공학(Electrical Engineering) 전공.

㉰ 대학 시절부터 반도체 및 컴퓨터 아키텍처에 대한 연구에 몰두.

㉱ 이곳에서 훗날 아내가 되는 로리(Lori Mills)와 만남.

㉲ 졸업 후, 대학원 진학을 위해 스탠퍼드로 향함.


2-3. 스탠퍼드 대학교 (Stanford University) 대학원

㉮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에서 전기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

㉯ 스탠퍼드에서 공부하면서 반도체 및 그래픽 처리 기술에 대한 깊은 연구를 진행.

㉰ 당시 GPU(Graphics Processing Unit)의 가능성을 깨닫고, 그래픽 연산을 전문으로 하는 칩의 필요성을 인식.

㉱ 대학원 시절부터 실리콘밸리에서 일하며 경력을 쌓기 시작.


3. 젠슨 황의 결혼과 가족 생활

3-1. 아내 로리 밀스(Lori Mills)와의 사랑 이야기

오리건 주립대학교 재학 중 로리 밀스(Lori Mills)를 만나 연애를 시작.

㉯ 두 사람은 젠슨 황이 학부생이던 시절부터 깊은 관계를 유지하며, 결혼까지 이어짐.

로리는 젠슨 황의 힘든 유학 시절을 함께 견뎌준 든든한 조력자.

3-2. 결혼 후의 삶

젠슨 황은 1993년, 엔비디아를 창업하면서 바쁜 생활을 하게 됨.

㉯ 하지만 가족을 소중하게 여기는 가치관을 유지하며, 아내와 두 자녀와 함께 행복한 가정을 꾸림.

로리는 젠슨 황이 엔비디아를 이끄는 동안, 그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해줌.

 

 


4. 경력과 창업 스토리

4-1. 초기 경력

★ 대학 졸업 후 젠슨 황 은 여러 반도체 기업에서 일하면서 기술적 경험을 쌓았다.

 

♣ AMD (Advanced Micro Devices)

▶ 반도체 회사에서 엔지니어로 일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에 대한 지식을 얻었다.

 

♣ LSI 로직 (LSI Logic)

▶ GPU와 반도체 아키텍처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그래픽 칩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그는 그래픽 칩이 단순한 2D 그래픽을 처리하는 데서 더 나아가, 3D 그래픽 및 병렬 연산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다는 통찰을 얻게 되었다.


4-2. 엔비디아 창업 (1993년)

★NVIDIA 브랜드명 어원

 

㉮  "NV": Next Vision (다음 세대를 위한 비전)

㉯  "IDIA": 라틴어로 "보다" 또는 "시각"을 의미하는 "invidia"에서 유래

즉, "NVIDIA"는 "Next Vision" + "Invidia"의 합성어로,
▶  "미래의 시각적 컴퓨팅을 선도하는 기업"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해석: "Invidia"의 의미

㉮  "Invidia"는 라틴어에서 "질투" 또는 "선망"을 의미합니다.

㉯  따라서 엔비디아라는 이름은 "남들이 부러워할 정도로 뛰어난 기술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  또한 눈 모양의 로고와도 연결되며, "세상을 더 나은 방식으로 바라보자"는 비전을 담고 있습니다.


4-3. NVIDIA 이름이 상징하는 것

★ 미래지향적 기술: 차세대 컴퓨팅과 비주얼 컴퓨팅을 위한 혁신 기업
★ 선망받는 기술력: AI, GPU, 자율주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 제공
★ 시각적 컴퓨팅 선도: 3D 그래픽, 데이터 시각화, 머신러닝 등의 핵심 기업

㉮ 설립자: 젝슨 황, 크리스 말라초우스키 (Chris Malachowsky), 커티스 프리엠 (Curtis Priem)

설립 이유: 3D 그래픽과 게임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GPU 개발에 집중하기 위해 창업

1993년, 젝슨 황은 두 명의 동료와 함께 엔비디아(NVIDIA)를 창업했다. 당시 컴퓨터 그래픽 기술은 매우 기초적인 수준이었으며, 대부분 2D 기반의 화면 출력을 담당하는 수준에 불과했다. 그러나 그는 미래의 컴퓨팅 환경이 3D 그래픽과 고성능 병렬 연산을 필요로 할 것이라 예측했다.

㉰ 초기 엔비디아의 목표

ⓐ 그래픽 처리 속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칩 개발

ⓑ 게임 및 멀티미디어 시장을 겨냥한 고성능 GPU 출시

ⓒ 단순한 그래픽 카드 회사를 넘어, 컴퓨터 비전과 AI 연산을 위한 플랫폼 구축


5. 엔비디아의 성공과 주요 기술 혁신

5-1. 지포스 (GeForce) 시리즈 탄생

㉮1999년, 엔비디아는 세계 최초의 GPUGeForce 256을 출시했다.

㉯GPU는 CPU보다 병렬 연산 능력이 뛰어나며, 게임 및 그래픽 연산에 최적화된 하드웨어였다.

㉰이후 엔비디아는 GPU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며, AMD(당시 ATI)와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5-2. CUDA 기술 (2006년)

㉮  젠슨 황 은 GPU를 단순한 그래픽 카드가 아니라, 범용 병렬 연산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CUDA 기술을 발표했다.

㉯  CUDA를 통해 연구자들은 AI, 데이터 분석, 과학적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GPU를 활용할 수 있었다.

㉰  이 기술 덕분에 엔비디아는 단순한 그래픽 카드 제조사를 넘어, AI 및 딥러닝 연구의 핵심 기업이 되었다.

5-3. 인공지능과 자율주행 기술

㉮2010년대 이후 엔비디아는 AI 및 자율주행차 시장에도 진출했다.

㉯AI 연산을 위한 Tesla 시리즈 GPU와 데이터센터용 A100, H100 칩을 개발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및 머신러닝 시장을 선도했다.

㉰현재 엔비디아의 기술은 자율주행차, 로봇, 의료 영상 분석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다.


Jensen Huang

6. 젠슨 황 의 리더십 철학과 가치관

6-1. 끊임없는 혁신

㉮  그는 엔비디아를 "단순한 하드웨어 회사가 아닌 컴퓨팅 플랫폼 회사"로 만들고자 했다.

㉯  연구 개발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으며, 항상 미래 기술을 준비한다.

6-2. 리스크 감수와 도전 정신

㉮  엔비디아는 몇 차례 위기를 겪었지만, 젝슨 황은 위험을 감수하면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다.

㉯  초기 GPU 시장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AI와 데이터 연산을 위한 병렬 컴퓨팅 기술에 집중하며 미래를 대비했다.

6-3. 개방적인 조직 문화

㉮  엔비디아는 자유로운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직원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했다.

㉯  젠슨 황은 직원들에게 "기술로 세상을 변화시키자"는 비전을 지속적으로 강조한다.

2024년 기준 NVIDIA시장 지위 1위로 평가됩니다. 특히, AI 칩GPU 시장에서 독보적인 리더십을 갖추고 있습니다. 2024년 6월 초, 엔비디아는 시가총액 3조 달러 클럽에 최초로 가입하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높은 기업 가치를 기록한 기업 중 하나로 자리잡았습니다.

NVIDIA의 AI 기술GPU 수요 증가 덕분에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컴퓨팅,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산업에서 압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AI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엔비디아는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 기업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초고속 신경망을 설계하고 구축하는 데 주력하며, AI 혁명을 이끌고 있습니다. 젠슨 황(Jensen Huang)은 9살 때 큰 어려움을 겪고 이를 극복한 후, 20년 뒤 NVIDIA를 창립했습니다. 그의 가장 큰 두려움은 AI가 아니라 비즈니스 실패입니다. OpenAIGoogle과 같은 주요 AI 소프트웨어 회사들은 그의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며, NVIDIA는 AI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NVIDIA 의 투자자 :

▶ SECA의 오너인 사이토 세이이치(Seiichi Saito) 그리고 SoftBank의 손정의

 

㉮  젠슨 황이 1993년 엔비디아를 창업할 당시, SECA의 오너인 사이토 세이이치(Seiichi Saito)가 초기 투자자로 참여.

㉯  엔비디아의 혁신적인 GPU 기술과 미래 가능성을 보고 자금 지원을 결정.

㉰  SECA의 오너였던 사이토 세이이치는 엔비디아의 초기 투자자로 알려져 있으며,

㉱  손정의(SoftBank) 역시 엔비디아에 투자한 일본 기업가 중 한 명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음.

♣  엔비디아는 이러한 투자 덕분에 초기 자금을 확보하고, 오늘날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음. 즉, SECA의 사이토 세이이치와 손정의 모두 젠슨 황에게 중요한 투자자였으며, 엔비디아의 성공에 기여한 일본 기업가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Jensen Huang과 손정의(SoftBank)

★ 젠슨 황의 비전과 사회 기여 ★

젠슨 황AI와 관련된 기술 혁명을 이끌어가고 있으며, 2023년 11월 30일에는 AGI(일반 인공지능)가 2028년에 달성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이는 Ray Kurzweil의 예측보다 1년 앞서는 예측이었습니다.

젠슨 황의 아내, 로리 황은 두 자녀를 키운 후, Jen-Hsun 및 Lori Huang Foundation회장으로 활동하며, 미국 전역에서 고등 교육, 공중 보건,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2년, 그들은 오리건주립대학교5천만 달러를 기부하는등 사회 기여가 높습니다.

로리와 젠슨 황. 오레곤 주립대가 학교에 5천만 달러를 기부한 기념 사진

 

728x90
반응형
BIG

'인물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6) 2025.03.14
그라운드 씨(GROUND C) 김성원 대표  (12) 2025.03.08
일타 강사 전한길!  (4) 2025.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