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BIG
1.서울 – 초고가 핵심 시장, 여전히 강하지만 기회는 있다
★ 시장 요약
▶2023~2024년 하락장 이후, 핵심지역(강남 3구, 용산, 성수 등)은 빠르게 반등 중
▶ 중저가 지역(노원, 강서, 금천 등)은 아직 하락 여진 존재
▶ 매수심리 회복 중이나 대출 부담이 여전히 매입 장벽
★ 전략
실수요 유형 추천 전략
무주택 실수요자 | - 강북 중저가 지역 중심 매수 고려 - 전세 → 매입 전환 검토, 구축 단지 + 리모델링 예정 지역 선호 |
신혼부부/청년 | - 고덕·상일·은평·가재울 등 신도시급 신축 단지 또는 공공분양 예정지 노려볼 만 |
자산가형 | - 리세일 시장보단 재건축 유망단지 장기 접근 권장 - 반포·잠원·흑석·이촌 등은 공급 부족 지속 |
★ 추천 시기
▶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금리 안정 + 거래량 회복 초입
2. 경기도 외곽 – GTX 기대주 vs. 미분양 위험지 구분 필요
★ 시장 요약
▶ GTX-A/B/C 예정지 인근은 프리미엄 유지 중 (동탄, 의왕, 양주 등)
▶ 신도시 외곽 or 비역세권 지역은 미분양 증가세
▶ 실거주 수요는 있지만, 투자 수요는 위축
★ 전략
실수요 유형 추천 전략
실거주자 | - GTX-A, C 노선 인접 역세권 구축 or 신축 중심으로 접근 - 예: 의왕 인덕원, 동탄2, 수원 망포 등 |
투자 겸 실거주 | - GTX 개통 2~3년 전 진입, 공급 적고 전세가율 높은 지역은 중기 보유 적합 |
청년/신혼부부 | - 지방 이전계획이 없는 경우, 남양주·하남 등 신혼희망타운 적극 검토 가능 |
★ 주의사항
☆인프라 미성숙 + 대출 리스크가 겹치는 지역은 피해야 함
▶예: 파주 문산권역, 평택 외곽, 김포 북부권
3. 지방 광역시 – 양극화 본격화, 핵심지 위주 선별 진입
★ 시장 요약
▶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은 시세 반등보다 하락세 지속 지역 다수
▶ 단, 부산 해운대·대연, 대구 수성구, 대전 도안신도시 등은 가격 방어 중
▶ 지방 중소도시는 미분양 리스크 최고조
★ 전략
도시 전략 포인트
부산 | - 해운대·수영·남구 중심 신축 또는 정비사업 기대지역 - 서부산(명지 등)은 공급과잉 경계 필요 |
대구 | - 수성구 외엔 하락세 여전, 구축은 리스크 큼 - 구축보단 입지 뛰어난 신축 입주권이 유리 |
대전 | - 도안신도시 외 지역은 매수 유보 권장 - 학군+교통 인프라 확장성 고려해야 |
광주 | - 봉선동, 상무지구 등 실수요 집중지만 선별 진입 - 재개발 기대 지역은 장기적 접근 가능 |
★ 추천 시기
▶ 2025년 하반기 이후 하락세 둔화 시점, 핵심지구만 선별 진입 권장
4. 지역별 내 집 마련 전략 비교
지역 시장 특징 진입 추천 시점 진입 전략
서울 | 반등 시작, 고가 중심 | 2025 하반기~ | 중저가 구축, 리모델링 예정지 선별 |
경기 외곽 | GTX 영향력↑ / 양극화 | 2025 하반기 | 역세권 신축, GTX 예정지 위주 선별 |
지방 광역시 | 하락세 지속, 일부 방어 | 2025 말~2026 초 | 핵심 학군/정비사업/신축 위주 선별 진입 |
5. “한 집 사는 일이, 한 생을 고르는 일”
"진입 시점은 시장이 아닌 삶의 준비가 되었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각 지역은 저마다의 리듬과 기회를 품고 있기에,
당신의 시간표와 예산, 그리고 삶의 우선순위를 담아내는 공간이 되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BIG
'노벨 경제학(금융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대선 전후 실수요자 맞춤형 내 집 마련 전략(마무리) (36) | 2025.04.10 |
---|---|
2025년, 6.3 대선 이후 주택정책 및 지역별 전략 통합 분석 보고서(3) (10) | 2025.04.09 |
2025년, 금리 불안정기, 내 집 마련의 적기는 언제인가(1) (6) | 2025.04.09 |
대통령의 말은 금보다 무겁다(6) (12) | 2025.04.08 |
KAI (Korea Aerospace Industries) 심층 분석 (26)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