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경제학(금융 투자)

2025년, 내집 마련 어디서 어떻게 사야 할까?(2)

돋보기쓴꼬부기 2025. 4. 9. 10:50
728x90
반응형
BIG

(사진출처 사람인)

1.서울 – 초고가 핵심 시장, 여전히 강하지만 기회는 있다

★ 시장 요약

▶2023~2024년 하락장 이후, 핵심지역(강남 3구, 용산, 성수 등)은 빠르게 반등 중

중저가 지역(노원, 강서, 금천 등)은 아직 하락 여진 존재

매수심리 회복 중이나 대출 부담이 여전히 매입 장벽

★ 전략

     실수요 유형                       추천 전략

 

무주택 실수요자 - 강북 중저가 지역 중심 매수 고려
- 전세 → 매입 전환 검토, 구축 단지 + 리모델링 예정 지역 선호
신혼부부/청년 - 고덕·상일·은평·가재울 등 신도시급 신축 단지 또는 공공분양 예정지 노려볼 만
자산가형 - 리세일 시장보단 재건축 유망단지 장기 접근 권장
- 반포·잠원·흑석·이촌 등은 공급 부족 지속

★ 추천 시기

2025년 하반기 ~ 2026년 상반기: 금리 안정 + 거래량 회복 초입


2. 경기도 외곽 – GTX 기대주 vs. 미분양 위험지 구분 필요

★ 시장 요약

GTX-A/B/C 예정지 인근은 프리미엄 유지 중 (동탄, 의왕, 양주 등)

신도시 외곽 or 비역세권 지역은 미분양 증가세

실거주 수요는 있지만, 투자 수요는 위축

★ 전략

  실수요 유형                                    추천 전략

 

실거주자 - GTX-A, C 노선 인접 역세권 구축 or 신축 중심으로 접근
- 예: 의왕 인덕원, 동탄2, 수원 망포 등
투자 겸 실거주 - GTX 개통 2~3년 전 진입, 공급 적고 전세가율 높은 지역은 중기 보유 적합
청년/신혼부부 - 지방 이전계획이 없는 경우, 남양주·하남 등 신혼희망타운 적극 검토 가능

★ 주의사항

☆인프라 미성숙 + 대출 리스크가 겹치는 지역은 피해야 함
▶예: 파주 문산권역, 평택 외곽, 김포 북부권


3. 지방 광역시 – 양극화 본격화, 핵심지 위주 선별 진입

★ 시장 요약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은 시세 반등보다 하락세 지속 지역 다수

단, 부산 해운대·대연, 대구 수성구, 대전 도안신도시 등은 가격 방어 중

지방 중소도시는 미분양 리스크 최고조

★ 전략

  도시                                 전략 포인트

 

부산 - 해운대·수영·남구 중심 신축 또는 정비사업 기대지역
- 서부산(명지 등)은 공급과잉 경계 필요
대구 - 수성구 외엔 하락세 여전, 구축은 리스크 큼
- 구축보단 입지 뛰어난 신축 입주권이 유리
대전 - 도안신도시 외 지역은 매수 유보 권장
- 학군+교통 인프라 확장성 고려해야
광주 - 봉선동, 상무지구 등 실수요 집중지만 선별 진입
- 재개발 기대 지역은 장기적 접근 가능

★ 추천 시기

2025년 하반기 이후 하락세 둔화 시점, 핵심지구만 선별 진입 권장


4. 지역별 내 집 마련 전략 비교

지역                     시장 특징                             진입 추천 시점                진입 전략

 

서울 반등 시작, 고가 중심 2025 하반기~ 중저가 구축, 리모델링 예정지 선별
경기 외곽 GTX 영향력↑ / 양극화 2025 하반기 역세권 신축, GTX 예정지 위주 선별
지방 광역시 하락세 지속, 일부 방어 2025 말~2026 초 핵심 학군/정비사업/신축 위주 선별 진입

5.  “한 집 사는 일이, 한 생을 고르는 일”

"진입 시점은 시장이 아닌 삶의 준비가 되었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각 지역은 저마다의 리듬과 기회를 품고 있기에,
당신의 시간표와 예산, 그리고 삶의 우선순위를 담아내는 공간이 되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B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