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미중 갈등의 향방과 글로벌 시각
1. 갈등의 본질
㉮ 미중 갈등은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 기술 주도권과 패권적 가치질서 재편을 둘러싼 구조적 충돌
㉯ 미국은 반도체, AI, 양자컴퓨팅, 전기차 배터리 등 첨단산업 중심의 중국 견제에 나섬
㉰ 중국은 내수 기반의 "쌍순환 전략"과 기술 국산화로 대응
2. 주요국의 시각 및 대응
㉮ 유럽 : 자율전략추구, 기술 주권 강화 움직임 (EU Chips Act)
㉯ 동남아 : 공급망 분산 수혜 기대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 대만 : 안보 리스크와 기술주도 사이에서 미국과 밀착
㉱ 한국 :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이라는 전략적 딜레마
Ⅱ. 한국에 주는 전략적 시사점 (반도체, 전기차 중심)
1. 반도체: 패권의 중간지대에서 살아남기
1) 위기 요인
㉮ 미국의 반도체법(CHIPS Act) 및 수출 규제로 인해 중국향 수출 제약 확대
㉯ TSMC와의 기술 격차, EUV 장비 의존도 등 구조적 제약
2) 기회 요인
㉮ 고성능 컴퓨팅, AI 반도체 등 비메모리 수요 폭증
㉯ 미·일의 생산 현지화 요청에 따른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3) 전략적 대응
㉮ 파운드리 경쟁력 강화 (2nm 기술 확보, 미국 텍사스 투자 확대)
㉯ AI 반도체 특화 공정 개발
㉰ 국내 팹리스 및 장비·소재 생태계 육성
2. 전기차 및 배터리: IRA 이후의 산업지형 변화
1) 위기 요인
㉮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중국산 원재료 제한
㉯ BYD, CATL 등 중국계 기업의 가격 경쟁력 우위
2) 기회 요인
㉮ 한국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의 글로벌 JV 확장
㉯ 현대차그룹의 E-GMP 플랫폼, 전기차 내재화 가속
3) 전략적 대응
㉮ 전고체·LFP·나트륨이온 등 차세대 배터리 기술 다변화
㉯ 북미 생산기지 확대 및 원재료 공급망 다변화
㉰ 수소차 및 전기차 이중 전략 병행 추진

Ⅲ. 글로벌 주요 기업 비교 분석
1. 반도체 산업 비교
기업 국적 영역 경쟁력 전략
TSMC | 대만 | 파운드리 | 초미세 공정 선도 | 미국·일본 현지화, AI 특화 |
삼성전자 | 한국 | 메모리+파운드리 | D램·낸드 1위, EUV 대응 | 파운드리 2nm, 美투자 확대 |
인텔 | 미국 | IDM | CPU 중심 생태계 | IDM 2.0, 자국 회귀 생산 |
NVIDIA | 미국 | 팹리스 | AI·GPU 독주, CUDA 생태계 | ARM 기반 확장 |
SMIC | 중국 | 파운드리 | 정부 지원 기반 | 제재 회피, 국산화 추진 |
2. 전기차/배터리 산업 비교
기업 국적 분야 경쟁력 전략
테슬라 | 미국 | 완성차 | OTA·소프트웨어 중심 | 자체 배터리화, 원가 절감 |
BYD | 중국 | 완성차+배터리 | 내재화, 내수 주도 | 수출 확대, 중저가 공략 |
CATL | 중국 | 배터리 | LFP 기술, 생산량 1위 | 유럽·동남아 거점 확보 |
LGES | 한국 | 배터리 | 글로벌 고객 다변화 | 북미 JV 확대, 차세대 투자 |
현대차 | 한국 | 완성차 | 전동화 플랫폼, 생산 효율 | 전기·수소차 병행 전략 |

Ⅳ. 결론 및 제언
◈ 요약표: 한국 전략 비교
항목 반도체 전기차/배터리
세계 점유율 | 메모리 1위, 파운드리 2위 | 배터리 1~3위 모두 한국 기업 |
주요 경쟁 | TSMC, NVIDIA | BYD, CATL, 테슬라 |
위협 요인 | 美·中 갈등, 장비 수입 의존 | 광물 공급 불안, 기술 유출 우려 |
핵심 전략 | AI특화 파운드리, 소재 내재화 | 소재공급망 확보, 기술 다변화 |
◈ 종합 제언
㉮ 기술 내재화 + 글로벌 공급망 분산 전략 병행
㉯ 미중 갈등 장기화에 대비한 정책 일관성 유지 및 산업자율성 확보
㉰ 산업별로 세분화된 전략 산업 보호 체계 구축 필요
▶"기술은 국경을 넘지만, 전략은 국경 안에서 시작된다."
한국은 지금 기술 패권의 파고 속에서, 균형의 지혜와 동맹의 전략을 동시에 짊어져야 한다.
'노벨 경제학(금융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리와 철심 사이, 풍산 (25) | 2025.04.14 |
---|---|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에 대한 한국 경제의 대응 전략 (22) | 2025.04.13 |
2025년 대선 전후 실수요자 맞춤형 내 집 마련 전략(마무리) (36) | 2025.04.10 |
2025년, 6.3 대선 이후 주택정책 및 지역별 전략 통합 분석 보고서(3) (10) | 2025.04.09 |
2025년, 내집 마련 어디서 어떻게 사야 할까?(2) (32) | 2025.04.09 |